RHCSA(Red  Hat Certified  System Administrator)

 

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가장 기초 자격증입니다.

 

대상 : 레드햇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, 최종  RHCE를 취득하기 위한  엔지니어

시험 : RHCSA(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) Exam-EX200

 

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출처 : https://www.redhat.com/ko/services/training/ex200-red-hat-certified-system-administrator-rhcsa-exam?section=%EB%AA%A9%ED%91%9C

시험 대비를 위한 학습 포인트

RHCSA 시험 응시자는 그 어떤 도움 없이 다음 과제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. 과제는 다음 몇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습니다.

필수 툴 이해 및 사용

  • 셸 프롬프트에 액세스하고 올바른 구문으로 커맨드 실행
  • 입력-출력 리디렉션(>, >>, |, 2> 등) 사용
  • grep 및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텍스트 분석
  • SSH를 사용하여 원격 시스템에 액세스
  • 로그인하고 멀티유저 타겟에서 사용자 변경
  • tar, star, gzip, bzip2를 사용하여 파일 아카이브, 압축, 배포, 압축 해제
  • 텍스트 파일 생성 및 편집
  • 파일 및 디렉토리 생성, 삭제, 복사, 이동
  •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 생성
  • 표준 ugo/rwx 권한 목록 작성, 설정 및 변경
  • /usr/share/doc에서 man, info, 및 파일을 포함한 시스템 문서를 찾고, 읽고, 사용

실행 시스템 운영

  •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부팅, 재부팅, 셧다운
  • 시스템을 수동으로 다른 타겟으로 부팅
  •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해 부팅 프로세스 중단
  • CPU/메모리 사용이 많은 프로세스를 식별하여 중단
  • 프로세스 스케줄링 조정
  • 튜닝 프로파일 관리
  • 시스템 로그 파일 및 저널 확인 및 해석
  • 시스템 저널 보존
  •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, 중단 및 상태 점검
  • 안전하게 시스템 간 파일 전송

로컬 스토리지 설정

  • MBR 및 GPT 디스크에서 파티션 목록 작성, 생성, 삭제
  • 물리 볼륨 생성 및 제거
  • 볼륨 그룹에 물리 볼륨 할당
  • 논리 볼륨 생성 및 제거
  • UUID(Universally Unique ID)나 라벨을 사용하여 부팅 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도록 시스템 설정
  • 어떠한 손실/손상 없이 시스템에 새로운 파티션 및 논리 볼륨과 스왑 추가

파일 시스템 구축 및 설정

  • vfat, ext4, xfs 파일 시스템 생성, 마운트, 분리 및 사용
  • NFS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마운트 및 분리
  • 기존 논리 볼륨 확장
  • 협업을 위해 set-GID 디렉토리 생성 및 설정
  • 디스크 압축 설정
  • 계층화된 스토리지 관리
  • 파일 권한 문제 진단 및 수정

시스템 배포, 설정 및 유지 관리

  • at과 cron을 사용하여 태스크 스케줄링
  • 서비스를 시작 및 중단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서비스 설정
  • 자동으로 특정 타겟에 시스템이 부팅되도록 설정
  • 타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설정
  • Red Hat Network, 원격 리포지토리 또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
  • 패키지 모듈 스트림을 사용하여 작업
  • 시스템 부트로더 수정

기본 네트워킹 관리

  • IPv4 및 IPv6 주소 설정
  • 호스트 이름 확인 설정
  • 부팅 시 네트워크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
  • firewall-cmd/firewall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제한

사용자 및 그룹 관리

  • 로컬 사용자 계정 생성, 삭제, 수정
  • 로컬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 및 비밀번호 유효 기간 설정 조정
  • 로컬 그룹 및 그룹 멤버십 생성, 삭제, 수정
  • 슈퍼 사용자(superuser) 액세스 설정

보안 관리

  • firewall-cmd/firewalld를 사용하여 방화벽 설정
  • 파일 액세스 제어 목록 생성 및 사용
  • 키 기반 SSH 인증 설정
  • SELinux 실행 및 허용 범위 모드 설정
  • SELinux 파일 목록 작성 및 식별, 컨텍스트 처리
  • 기본 파일 컨텍스트 복원
  • 부울 설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SELinux 설정 수정
  • 일반적인 SELinux 정책 위반 진단 및 해결

위의 목표에 대한 내용을 하나씩 포스팅 해 볼 예정이며, 예제를 구할수 있다면 같이 업로드 하겠습니다.

+ Recent posts